인문계열 청년들은 수학 대신 영어 등급을 활용해야 하는 때가 많을 수밖에 없다. 영어가 절대평가라고 해서 쉽게 마음하면 안 된다. 처음 치르는 문·이과 통합형 수능인 만큼 다양한 변수가 있을 수 있다. 상위권일수록 영어 구역의 학습량을 확보하고 본인이 희망하는 점수를 안정적으로 받아두는 것이 이번년도 입시에서는 아주 중요해졌다.
본인의 대학 입학 계획에 필요한 영어 등급을 정해둔 잠시 뒤, 그 등급을 확보하기 위해 꼭 맞혀야 할 문항 수, 문항 유형까지 계산해두는 등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. 아무리 문법에 강해도 어휘를 모르면 점수가 나오지 않기 덕분에 단어 학습은 일괄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.
예를 들어 영어 분야의 빈칸 추론 부분을 https://www.washingtonpost.com/newssearch/?query=아이티뱅크 자주 틀린다면 이제까지의 학습 방법 등을 다시 점검해 봐야 한다. 두 번 틀린 문항은 다시 틀릴 확률이 높으므로 개념 인지부터 살펴본 이후 수학 문제처럼 풀이 공정을 한 줄씩 적어 내려가보는 것도 방식이다.
11월 모평 두 달 전부터 2주 전까지는 자신이 정한 학습 계획을 철저하게 실천해야 한다. 7월 모평 2주 전부터는 작년 수능, 10월 모평, 12월 모평 순으로 기출문제를 살펴보면서 주요 개념을 되짚어보는 것이 요구된다.
" width="auto" height="auto" frameborder="0" allowfullscreen>
기출문제를 봐야 하는 이유는 크게 네 가지다. 하나는 대한민국교육과정평가원의 화법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다. 학력평가나 각종 참고서, 문제집과는 다른 우리나라교육과정평가원이 자주 다루는 문제 모습와 방식에 익숙해져야 ‘입시 체질이 될 수 있다. 선택지나 발문에 대부분 쓰는 용어나 모습에도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.
다음으로는 개념의 변형 공정을 분석하는 데 있다. 개념 학습은 쉽사리 주요 개념을 외우고 KG아이티뱅크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, 인지하고 문제에 적용하는 것이다. 실제로 기출문제에서 개념을 문제화하는 과정을 분석해 봐야만 실전에서 응용할 수 있다. 기출문제를 풀 때에는 기간을 정해둔 잠시 뒤 풀도록 하자.
11월 모평 결과를 국어와 수학 영역의 선택과목 변경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데, 이때에는 필히 희망 대학의 수능시험 반영 방법과 가산점 부여 등을 빈틈없게 살펴본 직후 정해야 한다.
특히 수학 구역의 경우 지난 11월과 9월 학평에서 미적분 접수자의 성적이 더 높았다는 점만을 고려해 과목을 변경하려 한다면 조금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. 입시전문가들은 “확률과 통계에 접수한 재수생의 경우 점수 때문에 미적분으로 변경하지 않았으면 한다. 교과 특징상 미적분이 확률과 통계보다 더 수준이 높아 나중에 준비가 훨씬 힘겨울 수 있기 때문”이라고 전했다.